![]() |
대/한/민/국
문/화/지/도 |
홈> 서울특별시>서초구>양재1동> |
양재천공원 서초구지역 위치 : 서울시 서초구 양재1동 일대 양재천은 과천시 중앙동(中央洞)의 관악산 남동쪽 기슭에서 발원하여 북동쪽으로 흘러, 서울시 서초구와 강남구를 가로질러 탄천(炭川)과 만나는 길이 18.5 km의 자연하천이다. 양재천은 원래 한강으로 직접유입되던 하천이였으나 강남권이 본격적으로 개발되던 1970년대 초 택지개발로인한 수로변경공사에 의해 탄천(炭川)의 지류로 물길이 바뀌었다. 양재천의 옛 이름은 공수천(公需川)또는 공수천(公須川) 학탄(鶴灘)과 학여울 등으로 기록되어 전해지며, 현재의 이름은 서울시 서초구 양재동을 통과하여 흐르기 때문에 붙여졌다. 1970년대 초반에는 맑은물이 흐르고 자연상태의 하천으로 다양한 동식물과 어류등이 살았지만 1970년대 중반부터 본격적인 강남권개발과 과천지역에 정부종합청사등의 이전으로 인하여 양재천 상류지역의 인구급등으로 생활하수로 서서히 오염되어갔다. 물고기조차 살기 힘들었던 양재천을 1990년대 중반부터 도시하천 생태환경복원 사업의 일환으로 양재천도 자연친화형 하천으로 복원하기 시작했다. 1997년 영동2교아래 강남구지역 양재천이 생태환경하천으로 복원된 좋은 사례로 평가되어 많은 언론매체에 소개되기도 하였다. 이로인해 서초구 지역의 양재천도 점차 친환경하천으로 복원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강남구 지역과 마찬가지로 수질정화시설과 각종 환경친화적공법으로 양재천을 친환경수변공원으로 만들어가고 있다. ![]() 양재천공원은 영동2교를 기준으로 강남구와 서초구로 행정구역이 바뀌는 관계로 양재천 복원공사도 관할자치단체가 따로 복원관리하고 있으나 그 방법은 대동소이하다. 강남구 지역은 주변에 고층아파트와 근래에 들어선 도곡동 주상복합주거타운의 초고층 주거건축물들 때문에 주변의 경관은 양재시민의 숲과 비교적 저층으로 개발된 관계로 강남구 지역보다 주변환경은 좀더 자연환경에 가까운 모습을 간직하고 있다. 서초구쪽 양재천공원의 주요시설로는 우면동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주변에 위치한 무지개다리와 자연석으로 만든 징검다리 제방에 만들어 놓은 운동시설과 양재천공원 강남구 지역에 있는 것과 같은 개념의 친수공간인 물놀이장등이 있다. 한 나라의 수도 한가운데를 흐르는 한강(漢江)과 같은 친수공간을 간직하고, 수 많은 명산(名山)을 보유한 도시는 지구상에 생각보다 그리 많치 않다. 바닷가 모래턱의 뉴욕, 해안가 분지의 도쿄, 대평원의 파리등의 수도가 가지고 있는 자연환경적 입지공간은 서울이 간직한 도시입지 요건에 비하면 어쩌면 열악하기 짝이없는 자연경관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그들은 도시를 돈들여서 정성을 다해 가꾸고 있다. 그래서 인공적인 환경을 그려한다면 서울은 그에비해 사람살기 떨어지는 도시가 되고 말았다. 그 책임을 공무원에게 돌리지 말자. 모든 인간의 사회적행위에서 감시와 규제 감독에는 한계가 있다. 또 그런 규제나 감시가 많으면 문화후진국으로 전락한다. 누가 말하기전에 양재천에 대해 우리가 책임지자. 양재천이 오염된 근본원인은 과천지역과 서초지역 강남지역에 사는 사람들이 배출하는 생활하수이다. 제발 집지을때 건축비 아낄려고 부실한 하수관연결공사 하지말자. 그리고 건축허가관련 공무집행자들도 그런거 하나만은 칼같이 감시하자. 지연(地緣), 학맥(學脈), 혈연(血緣)과 돈에 유착(癒着)되는 공무원은 이미 공무원(公務員)이 아니라 우리사회를 갉아먹는 밥벌레다. 밥벌레가 되어 어떻게 고개들고 집에 들어가 양재천에 대하여 사랑하는 가족들에게 이야기 할 수 있겠는가? 그러지 말자. 양재천에 생활하수는 한방울도 들어오지 못하게 하는게 양재천을 양재천답게 만드는 근본적인 방법이다. 서초지역 수질정화시설을 만드는데 29억 썼다고 한다. 강남에 그 만큼, 또 과천에 그 돈이면 100억원에 가까운 낭비적인 수질정화시설물에 아까운 세금이 쓰인다. 또 그 수질정화시설들은 지속적인 관리를 요한다. 수질정화촉매제 교체하고 관리하는 운영비는 또 얼마나 들어가나? 그러면서 국가예산의 효율적인 집행을 요구하지도 바라지도 말자. 양재천을 누가 그렇게 만들었는가? 안다면 답은 이미 나와 있다. 지금부터라도 실천하자. 집지을때 하수구는 완벽하게 하수관으로 연결하고 양재천 주변에 몰래 오염물질 배출하는 업소가 있다면 단 하루동안 만이라도 오염된 양재천에서 수영을 시키자. 그러면 소모적인 양재천살리기 운동은 더이상 하지 않아도 될날이 빨리 올것 이다. ![]() |
*.양재천공원 서초구지역 가는 길 *.양재천공원 서초구지역 주변 음식점 *.양재천공원 서초구지역 주변 숙박업소 |
![]() |
|
|
![]() |
도/시/여/행
서/울/여/행 |
![]() |
ⓒ 1999-2025 Sogur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