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문/화/지/도

> 전라북도>순창군>순창읍>
바로가기

귀래정


 큰사진보기!
귀래정(歸來亭)

지정번호 : 문화재 자료 제67호
위치 : 전라북도 순창군 순창읍 가남리 538-1

귀래정(歸來亭)은 순창읍에서 88고속도로의 진입로를 따라 약 1㎞쯤 가다가 보게 되는 남산의 산 위에 위치해 있다. 원래의 귀래정은 1457년(세조 2년)에 신말주(申末舟)에 의해 세워졌다고 하는데 현재의 건 물은 1974년에 다시 세운 것으로 정면 3칸(칸당 거리 240㎝) 측면 2칸의 팔작지붕으로 되어 있으며 건물의 관리는 고려신씨종중(高麗申氏宗中)에서 하고 있다. 신말주(申末舟)는 1429년(세종 11년)에 공조참판(工曹參判) 신장(申檣)의 아들로 태어났으며 자(字)는 자즙(子楫)이라 하고 호(號)는「귀래정(歸來亭)」이라는 이름을 붙인 것이라 한다. 그는 문충공(文忠公) 신숙주(申叔舟)의 아우이기도 하다. 어려서부터 재주가 특출하고 학문을 즐겨 1451년에 사마시(司馬試)에 합격하고, 1454년에는 증광문과(增廣文科)에 급제, 영전을 거듭했는데 그 무렵 세조가 그의 조카인 단종을 내몰고 왕위에 오르자 이에 상심하여 모든 벼슬에서 물러나 이곳 순창 남산대로 내려와「귀래정(歸 來亭)」을 지어놓고 시문을 벗삼아 지냈다고 한다.




 다른사진 둘러보기! 귀래정 둘러보기...




 큰사진보기!


그후 그는 1459년(세조 5년)에 다시 버슬길에 나아가 우헌납(右獻納)이 되었으며 1464년 집의(執義)를 거쳐 1466년 대사간(大司諫)에 승진되고 1476년(성종 7년)에는 전주부윤(全州府 尹)을 지낸 뒤 진주목사 창원도호부사 등을 역임하였다. 그 뒤 그는 1487년에 다시 대사간 (大司諫)이 되었으며, 다음 해에는 첨지중추부사를 거쳐 전라도 수군절도사를 지냈다. 현재 귀래정에는 서거정(徐居正)이 지은「귀래정기(歸來亭記)」와 강희맹(姜希孟)의 시문 등 이 액판으로 보존되고 있다.




 자유 게시판! 귀래정 게시판





*.귀래정 가는 길

*.귀래정 주변 음식점

*.귀래정 주변 숙박업소



 소구리 자발적 유료화 서비스  참여하기! 안녕하세요? 소구리 문화지도 정보 이용에 대한 자발적 유료화 정책을 시행합니다.

소구리 문화지도 자발적 유료화 참여하기






소구리 문화지도 자발적유료화 참여하기 *__^ 도/시/여/행
서/울/여/행